Korean Law Demystified!

Korean Police Guidelines for Administering Sobriety Tests

Article 38 of the Police Guidelines for Traffic Enforcement Procedures (교통단속처리지침) is worthy of note. It outlines the procedures police officers are told to follow when administering (chemical) sobriety tests. I have paraphrased each paragraph into English. All errors are my own!


제38조 (측정요령)

① 운전자에 대하여 음주여부를 측정하는 때에는 기기의 정상작동 상태를 확인점검한 후 이상이 없는 때에 측정하여야 한다. –> Before testing, the officer is to check if the breathalyzer is actually working properly…

② 음주측정시에 사용하는 음주측정기용 불대(mouth piece)는 1인1회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 In principle, the mouth piece (aka straw) is for one-time use only…

③ 음주측정자는 음주측정시에 운전자에게 최종 음주시간 및 구강청정제등 유사 알콜 사용여부를 확인하여 구강내 잔류알콜(음주시부터 구강내잔류 알콜 소거에 20분소요)에 의한 과대 측정을 방지하여야 한다. –> The officer is to ask the driver: 1) when (exactly) he/she finished drinking + 2) whether he/she used any alcohol-based mouthwash (within the past 20 mins)…

④ 운전자에 대한 음주측정 결과 혈중알콜농도 0.05% 이상으로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하는 때에는 피측정자에게 측정결과와 채혈에 의한 측정방법이 있음을 고지하여야 하며, 체포시에는 미란다원칙을 명확히 고지하고 이의가 없음을 확인한 후 별지 제16호 서식의 주취운전자 정황진술보고서에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하여 공소유지 등을 위한 수사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 When the BAC is 0.05% or higher, the officer is to notify the driver that he/she may ask for a blood test… When making an arrest, the officer is to (clearly) give Miranda Warning…

⑤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에 기재할 때에는 반드시 본인여부를 운전면허증(주민등록증 등)으로 명확히 확인하여야 한다. –> When writing up a report, the officer is to first verify the driver’s identity by asking for a valid ID…

⑥ 피측정자가 채혈을 요구하거나 측정 결과에 불복하는 때에는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를 작성한 후 즉시 피측정자의 동의를 얻어 가장 가까운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별표 제1호에 의한 방법으로 채혈한 혈액을 별지 제17호 서식에 의하여 반드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감정의뢰 하여야 한다. –> When the driver asks for a blood test, the officer is to, without delay, go and collect his/her blood at the nearest medical facility… The blood sample must then be sent to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for analysis)…

⑦ 피측정자의 혈액을 채취한 때에는 해당사항을 전산입력하고, 종결된 건은 별지 제18호서식의 채혈대장을 출력하여 비치관리하여야 한다. –> In the event a blood test is conducted, the officer is to make a note of it (in the reports)…

⑧ 음주정도 측정시 처음부터 채혈을 원하는 운전자에 대하여는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 측정결과란에 채혈요구X로 기재하여 작성하고 전산입력하며, 감정결과에 따라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를 별도 작성하여 합철처리한다. –> Should the driver want to skip the breathalyzer test (altogether) and ask for a blood test right away, the officer is to make a note of this as well…

⑨ 음주측정기에 의한 측정결과에 불복하여 채혈한 혈액을 감정의뢰한 때에는 적발보고서 측정결과란에 기기측정결과를 기재하여 작성하고 전산입력하며, 감정결과에 따라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를 별도 작성한 후 행정처분 및 형사사건 서류에 최초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와 합철처리하여야 한다. –> Even when the driver refuses to accept the breathalyzer test result and (so) asks for a blood test, the officer is to (still) make a record of the breathalyzer BAC…

⑩ 채혈하여 감정의뢰 한 경우 감정결과는 음주측정기 측정결과에 우선한다. –> A blood test result prevails over a breathalyzer test result…

⑪ 음주측정 요구에 불응하는 운전자에 대하여는 음주측정 불응에 따른 불이익을 10분 간격으로 3회 이상 명확히 고지하고, 이러한 고지에도 불구하고 측정을 거부하는 때(최초 측정요구시로부터 30분 경과)에는 측정결과란에 측정거부X로 기재하여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를 작성한다. –> In the event the driver refuses to comply with any tests whatsoever, the officer is to warn the driver of the (legal) consequences at least 3 times (i.e., once every 10 mins)… If the driver still refuses to comply even after 3 separate warnings were given (i.e., 30 mins should have elapsed at this point), the officer is to make a note of this in the report…

⑫ 운전자를 측정거부자로 처리하는 때에는 동승자, 기타 참고인을 확보하여 추후 부인하는 경우 등에 대비토록 한다. –> When categorizing a driver as someone who ultimately failed to comply (as just explained above), the officer should try to get a hold of any passengers or witnesses (to prepare in the event the driver later denies everything)...

⑬ 측정거부 또는 음주운전으로 주취운전자 적발보고서 작성이 완료된 이후에는 당해 운전자의 요구가 있더라도 호흡측정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측정 결과에 불복하면서 채혈을 요구할 경우 시간적 차이가 없거나 약물 기타 혈중알콜 농도에 영향을 주는 행위가 없는 경우 채혈하여 그 결과에 따라 처리하고, 상당한 시간 경과 등으로 혈중알콜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위가 있을 경우 채혈하되 그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는 등 수사보고서를 작성 보강증거로 활용한다. –> Once the driver has officially been categorized as someone who ultimately failed to comply, a breathalyzer test can no longer be conducted… In the event the driver asks for a blood test after a breathalyzer test, the officer is to accede to this demand… But, should there have been any actions/circumstances which could potentially affect the blood test result (e.g., too much time has elapsed), the officer is to make a (detailed) note of them…

⑭ 위드마크 계산법을 적용하는 경우, 적발보고서는 음주측정 또는 진술에 의한 음주수치를 측정결과란에 기재하여 작성하고, 위드마크 적용수치는 결과란 하단에 적색으로 기재한다. 단, 전산입력시 측정결과는 위드마크 적용수치를 입력한다. –> When using/applying the Widmark formula, the officer is to make a note of this…


[BONUS 1: FAQ]

Q: The officer failed to inform/remind me of my right to ask for a blood test. Can I challenge my breathalyzer BAC (on this ground)?

A: It’s unlikely you’d be successful. In order to nullify a test result, the officer’s mistake must have been something major (e.g., Miranda). Granted, it is hard to say definitively what is and isn’t “major.”


[BONUS 2: Interesting Supreme Court Cases]

1) 2001도7121: When the driver had properly asked for a blood test (but was denied), his/her breathalyzer test result is inadmissible as evidence.

2) 2006다32132: “Without delay” in Article 38(6) basically means “without unreasonable, long delay” as opposed to “right away, at the scene” or “right away, before any other/further procedure…”

3) 2013도8481: Pulling (a resisting driver) by the arm into a room (to conduct a sobriety test) is illegal. Therefore, such a driver cannot be punished for his/her refusal to comply with a sobriety test (in the room). This is true even when the driver came to the police station willingly.

Thanks for reading!

%d bloggers like this: